김천시 개령면

문화와 역사가 살아 숨쉬는 우리고장 개령면

역사인물

독립운동가 김단야

생애 및 활동사항

1. 학창시절, 민족의식에 눈 뜨다
  • 1908~1914 : 개령면 개진학교(현 개령초등학교) 입학, 진명학교를 거쳐 영진학교에서 4년간 수학 후 1914년 졸업
  • 1915. 4. : 대구 계성학교 고등보통과 입학
  • 1916. 12. : 일제 식민지배를 정당시 하는 미국인 교장과 일본인 교사를 반대하는 동맹휴학을 주도하다 퇴학당함
  • 1917. 1. : 일본 동경 세이소쿠영어학교에서 6개월 간 수학
  • 1917. 9. : 서울 배재학교 입학
  • 1919. : 반일학생서클 가입 및 비합법신문 ‘반도의목탁’ 발간 참여
2. 만세운동에 앞장서다
  • 1919. 3. 24
    • 3· 1운동이 일어나자 고향인 개령면 동부동에서 허철, 김종수, 최영돈 등과 함께 만세시위 계획·합의
    • 개령공립보통학교 졸업식 및 학부모 은창서집 혼인잔치로 사람이 모였을 때 김단야가 일장연설을 하고 유동산으로 행진하며 시위를 주도함 (이로 인해 김단야는 대구지방법원 김천지회에서 태형 90을 언도 받음)
  • 1919. 8. : 출옥 후 비밀결사 적성단을 조직, 독립군을 모집하여 만주군정서에 군자금 전달
  • 1919. 12. : 상해망명
3. 민족해방을 위해 사회주의자가 되다
  • 1921. 3. : 상해 고려공산청년단 결성 참여, 집행위원이 되어 기관지 ‘벌거숭이’의 편집인으로 활동
  • 1921. 8. : 고려공산청년단 책임비서로 선임, 화동 학생연합회 서기 선임
  • 1921. 10. : 이르쿠츠파 고려공산당 상해지부 입당 및 상해상과대학 입학
  • 1921. 10. : 이르쿠츠파 고려공산당 상해지부 입당 및 상해상과대학 입학
  • 1922. 2. : 각국 대표 17명과 함께 레닌회견 참석, 사회주의 사상을 확고히 함.
  • 1922. 3. : 상해에서 고려공산청년회 중앙총국을 결성하여 집행위원으로 활동
  • 1922, 4. : 귀국 도중 신의주에서 체포되어 신의주지법에서 징역1년 6개월형을 선고 받음
  • 1924. 1. : 출옥 후 박헌영,임원근과 함께 동아일보·조선일보 기자로 활동
  • 1924. 2. : 신흥청년동맹 집행윙원 및 한양청년연맹, 화요회 활동 ‘레닌 회견인상기’ 조선일보 연재
  • 1925. 말 : 2월, 전조선민중운동자대회 준비위원이 되었으나, 신의주 사건으로 인한 검거를 피해 상해로 2차 망명
4. 6·10 만세운동 참여
  • 1926. 4. 25. : 순종 사망 소식을 듣고 조선공산당 간부들과 독립만세운동 기획
  • 만세운동에 필요한 자금 조달 및 선전격문 작성
  • 1926. 6. 7. : 김단야가 작성한 격문 (“상(喪)에 복(服)하고 곡(哭는)하는 민중에게 격(檄)함”)이 발각되어 압수당하고 권오설이 체포됨
  • 1926. 6. 10. 순종 장례 행렬에서 이선호(중앙고등보통학교학생)의 만세 제창을 신호로 학생들의 6·10 만세 운동 거행
5. 꾸준한 독립운동 전개
  • 1928. 11. : 코민테른 산하 조선문제위원회에 조선공산당 문제를 검토할 참고자료 제출
  • 1929. 11. : 조선공산당조직준비위워회 결성
  • 1929. 12. ~ 1930. 6. : 모스크바에 머물면서 코민테른 집행위원회에서 근무
  • 1930. 7. : 상해에 근거지를 두고 조선공산당재건운동 지도
  • 1931. 3. ~ 1932. 6. : 코민테른의 재정 지원을 받아 기관지 ‘코뮤니스트’ 발간
  • 1933. 9. ~ 1934. 1. : 코민테른 동양부 지도 하에 한인반제동맹, 혁명호제 한인분회 활동 참여
  • 1934. ~ 1936. :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조선과장으로 근무
  • 1937. 11. : 일제의 밀정이란 혐의를 받고 소련 내무인민위원부 경찰에 최포되어 소련 최고재판소 군사법정에 의해 1급 일제 밀정으로 판결받아 1938 사형
6. 훈장
  • 2001. 러시아 대 검찰청의 명예 복권
  •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2005.8.15. , 광복 60주년)
7. 기타사항
  • 개령교회는 김단야의 조부(김지옥)가 설립했다고 알려져있다.
  • 김단야의 부친 김종원은 본래 한약방을 경영했으나, 아들의 독립운동으로 인해 면허를 박탈 당했다. (손녀 김현숙 증언)
8. 참고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3·1만세운동 100주년 기념 세미나 자료집-100년전 그날, 김천에선 무슨 일이 있었나?』(김천교육너머)
9. 사진자료
김태연 3.1운동 판결문, 6.10만세 운동 관련 보도기사
위 김단야의 활동, 아래 김단야의 한글 필적
위 소련에서 정치적 탄압에 의해 희생된 한국인들, 아래 김단야가 받은 상
누리집 서비스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