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재

대덕면

대덕면

신라시대에는 지품천현(智品川縣)에 속하였다가 757년에 개령군 지례현에 귀속되고 고려 현종 9년(1018년)에 성주 경산부 지례현에 이속되었다. 조선시대는 지례현 남면이라고 불려졌다가 1895년에 상남·하남·외남의 3개면으로 나누어졌다.

1914년에 3개 면을 통합하여 대덕산의 이름을 따서 대덕면이라 칭하여 김천군에 속하게 하였으며, 32개 동을 화전·문의·대리·연화·덕산·내감·외감·가례·조룡·중산·추량· 관기의 12리로 통합 개편했다. 1949년에 김천읍이 시로 승격됨에 따라 금릉군 관내가 되었다. 1960년에 12개 리를 21개 리로 분할 개편으로 현재에 이르렀다.

김천의 남쪽 끝에 자리를 잡아 경북·경남·전북의 삼도 접경 지대에 위치하여 김천시청에서 면소재지까지는 32km이다. 서로는 전북 무주군, 남으로는 경남 거창군과 접경하고, 북으로는 지례면과 부항면, 동으로는 증산면과 인접하고 있다.

소백산맥의 동남쪽 기슭에 위치하여 주위에 수도산(1,317m)·월매산(1,023m)·국사봉(875m) ·대덕산(1,290m)·고드름산 등의 높은 산과 우두령과 주치령의 높은 고개가 있는 산간지대로 산이 전면적의 83%를 차지하고 있다. 수도산에서 발원한 화전천과 대덕산에서 비롯된 덕산천·감주천이 합하여 북으로 흐르면서 황성계곡과 조룡 2리에서 시작된 추량천과 조룡천을 받아들여 감천 상류를 형성한다.

이들 냇가에 들이 있다. 김천∼거창간을 연결하는 3번 국도와 무주∼대구간을 이어주는 30번 국도가 대덕면의 동서와 남북으로 지나가고 2개의 지방도가 개통되고 있어 개화기가 5일 정도 늦고, 홍수와 한발 등 천재가 비교적 적은 편이다.

연화리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남면 연화라 불리었던 마을이다. 1895년에 남면이 삼분되면서 상남면에 귀속되고, 1914년에 소태를 병합하여 연화리라 칭하고 김천군 대덕면에 편입되었으며 1960년에 연화리에서 나누어져 분동하여 연화 1리가 되었다. 마을의 북쪽과 남쪽은 산으로 되어 있고 덕산 1리와 감주에서 발원된 덕산천과 감주천이 마을 동쪽에서 합류하여 동으로 흐르고 두 냇물의 양안에 비교적 넓은 들이 형성되어 있다.

면 소재지와는 30번 국도로 2.5km 거리이며 마을 앞에서 내감으로 가는 지방도가 남으로 갈라진다. 동은 관기1리, 서는 연화 2리와 들로 연결되고 남은 외감리, 북은 관리 3리와 산 으로 접경하고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① 여내실·연화실·연화(蓮花)
    • 본래 상남면의 지역으로 연하봉이 아래 마을로 왜병을 무찌르고 그 자손이 이곳에 와서 정착하였다고 한다. 99가구 가운데 인동장씨가 많이 거주하고 있다.
  • ② 소태실·소태(小台)·소대
    • 연화 북서쪽으로 약 1km 떨어져 있고, 대봉산 밑에 자리잡고 있다. 임진왜란 때 어느 왕자의 장수를 빌기 위하여 태를 대봉산에 묻었다. 왕자의 태와 관련지어 마을 이름을 소태실이라고 하였다 한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덕산리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남면 덕산이라 불리던 마을이었다. 1895년에 남면이 삼분되면서 상남면에 귀속되고, 1914년에 덕산과 주치가 통합되어 덕산리라 칭하고 김천군 대덕면에 편입되었으며, 1960년에 덕산리가 이분되면서 덕산 1리가 되었다.

소백산맥 기슭의 중턱에 위치하여 대덕산(1290m)을 비롯한 높은 산이 많은 고지대로 들이 적으며 이곳에서 발원된 덕산천이 동쪽으로 흐른다.

30번 국도로 면 소재지에서 5.7km 거리이고, 이 도로는 주치령을 지나 전북 무풍과 연결된다. 동과 남은 덕산 2리, 서는 전북 무풍면, 북은 연화 2리와 접경하고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① 덕산(德山)
    • 본래 지례부 상남면의 지역으로서 대덕산 밑이 되므로 덕산이라 하였다. 46가구 거주에 김녕김씨가 많고 벼농사 외에 포도 재배를 하고 있다.
  • ② 옴배미·주티·주치(走峙)
    • 덕산 남쪽 약 1km 거리에 위치한 마을로 주치령 밑이 되므로 마을 이름을 주티·주치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외감리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남면 외감이라 불리던 마을로 1895년에 남면이 삼분되면서 상남면에 귀속되었다. 1914년에 절골(寺谷)을 병합하여 외감리라 칭하고 김천군 대덕면에 편입되었다. 대덕산(1290m)과 국사봉(875m)의 사이 골짜기의 아랫쪽에 위치한 2개의 산촌인데 면소재지와는 4.5km 거리이다. 남에서 북으로 감주천이 흐르고 연화 1리 앞 30번 국도에서 갈라져 나온 지방도로가 좁은 골짜기를 거쳐 마을 앞을 지난다. 남은 내감리, 북은 연화 1리, 서는 덕산 2리, 동은 화전 1리와 접경하고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① 외감·아랫감주
    • 감주 골짜기의 제일 바깥에 위치하기 때문에 아랫감주·외감이라 하였다. 임진왜란 때 밀양 박씨·경주이씨·김녕김씨가 피란차 이곳에 와서 정착하였다.
  • ② 절골
    • 옛날 이 마을 뒷산인 대덕산 기슭에 큰절이 있었는데 그 절 밑에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절골이라 불리어 왔다고 한다. 벼농사를 주로 하고 있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내감리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남면에 속했던 중감·내감의 2개의 마을로 1895년에 남면이 삼분되면서 상남면에 귀속되었다. 1914년에 내감과 중감이 통합하여 내감리라 칭하고 김천군 대덕면에 편입되었다.

대덕산(1290m)과 국사봉(875m)의 사이 골짜기의 윗쪽 산간 오지에 위치한 벽촌으로 면소재지에서 6km 떨어져 있으며 덕산천의 지류인 감주천의 발원지이다. 연화1리 앞 30번 국도에서 갈라져 나온 지방도로의 종점으로 남과 서는 준령으로 경남 거창군과 경계하고, 북은 덕산 2리와 외감리, 동은 문의리와 접경하고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① 내감·웃감주
    • 감주 골짜기의 4개의 부락(내감·외감·중감·절골) 중에서 가장 위쪽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웃감주 또는 내감이라고 했다.
  • ② 진터·중감
    • 감주 골짜기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하여 중감이라 했는데, 임진왜란 때 공장군과 박장군이 이곳에서 진을 친 사실이 있다 하여 진터라고도 한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가례리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남면에 속했던 가례·천곡·석정의 세 마을이었는데, 1895년에 남면이 삼분되면서 하남면에 귀속되었다. 1914년에 위 3개 마을과 새로 생긴 덕봉을 합하여 가례리라 하고 김천군 대덕면에 편입되었다.

면 소재지에서 북으로 3번 국도를 따라 4km 거리에 있어 면내에서 가장 넓은 가례한들과 이웃에 산재하는 마을로 인근에 대덕천과 그 지류인 봉곡천이 흐르고 있으며, 동은 증산면, 북은 부항면과 산으로 경계하고, 남은 중산 1리, 서는 조룡 1리와 평지로 이어지고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① 가례
    • 원래의 가례 마을은 없어졌고, 현재의 가례 마을은 조선시대에 이주한 마을이다. 마을 모양이 가래같이 길게 생겼다고 하여 가례라고 불려졌다고 한다.
  • ② 덕봉(德峰)
    • 가례 마을 동쪽에 있는 덕봉산 서쪽 산기슭에 있는 마을로서 산의 이름을 따서 덕봉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③ 석정(石亭)
    • 가례 북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 입구에 큰 느티나무가 있고 그 옆으로 큰 돌들이 산재해 있어 마을 이름을 석정이라 했으며, 옛날에는 이곳에 정자가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그 흔적을 찾을 수 없고 여름철이면 휴식처로 이용되고 있다.
  • ④ 천동(泉洞)
    • 가례 북쪽에 있는 마을로 이 골짜기에는 작은 샘이 있어서 천동이라고 하며 한 가구만이 살고 모두 타처로 이주하였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룡리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남면 조룡·쌍괴·양지의 3개 마을이었는데, 1895년에 남면이 나누어 지면서 하남면에 귀속되었다. 1914년에 위 3개 마을과 봉곡·조현을 통합하여 조룡리라 칭하고 김천군 대덕면에 편입되었다. 1960년에 봉곡·하조현이 분동해 나가고 원조룡·양지촌 ·음지촌·신기·신촌이 조룡 1리가 되었다.

면 소재지에서 국도를 따라 북으로 4km 지점에서 서쪽으로 갈라진 도로변에 5개의 마을이 산재해 있고 마을 앞에 봉곡천이 동류하며 들이 비교적 넓다. 북은 부항면, 남은 중산 2리와 산으로, 서는 조룡 2리와 좁은 골짜기로 접경하고, 가례리와 들로 이어져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① 조룡골·원조룡·조룡(釣龍)
    • 이 마을이 있는 골짜기에 용구라는 맑은 연못이 있어 용이 살았다고 하며, 용을 낚은 곳이라 하여 마을 이름을 조룡이라 부르게 되었다. 1914년 쌍괴리·양지리·조현리·봉곡리를 합병하여 조룡리라 하였다. 지금도 못이 있었던 자리에는 작은 웅덩이가 남아 있다.
  • ② 양지마·양지촌(陽地村)
    • 음지말 북쪽에 자리잡고 있는 마을로 양지쪽에 이루어진 마을이라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 ③ 음지마·음지촌(陰地村)
    • 섬실 중 가장 먼저 이루어진 마을로서 산 밑 응달에 위치하였다 하여 음지마·음지촌이라 칭하게 되었다.
  • ④ 새터·신기(新基)
    • 음지마 북동쪽에 있는 마을로서 새로 터를 닦아 형성된 마을이라고 하여 새터·신기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 ⑤ 새땀·신촌(新村)
    • 조룡 남동쪽에 있는 마을로서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해서 새땀·신촌이라 부르고 있다고 한다 .
  • ⑥ 웃새재·봉곡·상새재·상조현(上鳥峴)
    • 봉곡사를 중심으로 하여 위쪽에 있다고 하여 윗재새·상새재·상조현이라 불러왔다고 하며 비봉산 밑에 있다.
    • 본래 새재라 함은 무슨 새와 관련이 있기도 하겠지만 새-사이의 대응으로 보아 특정한 마을과 마을의 사이를 경계 짓는 작은 고개를 이른다. 문경 새재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 ⑦ 아랫새재·하새재·하조현(下鳥峴)
    • 봉곡사를 중심으로 하여 아랫쪽에 있다고 하여 아랫새재·하새재·하조현이라 불러왔다고 한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추량리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남면 추장이라 불리던 마을로 1895년에 남면이 삼분되면서 하남면에 귀속되었다. 1914년에 송전·백석·황성을 병합하여 추량리라 개칭하고 김천군 대덕면에 편입되었다. 1960년에 송전·백석·황성이 분동되어 추장이 추량 1리가 되었다.

면 소재지에서 동으로 30번 국도를 따라 1km 지점인 구릉지대에 위치한다. 동과 서는 산이고 그 사이를 수도산에서 발원한 추량천이 남북으로 관류하고 그 양안에 경사진 들이 있다. 동은 험준한 고드름산 줄기로 증산면과 경계하고, 서는 노루목재를 사이에 두고 관기 2리와 접하며, 남은 추량 2리, 북은 중산 1리와 계곡과 들로 이어져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으로 가래실이 있음을 보면 여기 한자로 적은 가을추(秋)자 추량은 가래나무 추(楸)자 추량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

행여 간단하게 적으려는 의도였다면 몰라도 가래실이 쓰임을 볼 때 본디의 가래나무의 뜻 을 살리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상정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① 가래실·추량(秋良)·주장·추장리
    • 면소가 있는 관기리에서 남동쪽으로 약 1km쯤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60여 가구 중 서산정씨와 성산배씨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마을은 정해표라는 사람이 개척하였는데, 마을의 생김새가 떡가래같이 생겼다 하여 가래실이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 ② 솔밭골(松田)
    • 지세필이라는 사람이 개척한 이 마을은 둘레에 소나무숲이 우거져 있다 하여 솔밭골·송전리라 이름지었다. 25가구가 살며 김해김씨가 많다.
  • ③ 주막담·백석(白石)
    • 면 소재지인 관기리에서 남동쪽으로 약 1.9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10여 가구 중 충주지씨와 김해김씨가 대부분이다. 이곳은 대구·성주 등지에서 오는 행상들이 이 마을의 주막집에서 쉬어 갔다 하여 주막담이라고 불러 왔다. 1969년 김선출이 주막 뒤에 큰 바위가 있었기에 백석동이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 ④ 지푸이·황성(黃城)
    • 면소가 있는 관기리에서 남동쪽으로 2.3km쯤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15∼16가구 중 주로 충주지씨가 살고 있다. 이 마을은 황성골이라는 골짜기 아래에 위치하고 있기에 황성골이라 하였으며, 골짜기가 매우 깊기때문에 지푸이라고도 한다.
    • 여기 지푸이가 깊다는 뜻으로 쓰임을 보면 지품천은 곧 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셈이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관기리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남면 관기라 불리던 마을로 1895년에 남면이 삼분되면서 상남면에 귀속되었고, 1914년에 관기·장곡·호미와 새로 마을이 형성된 상시·하시를 통합하여 관기리라 칭하고 김천군 대덕면에 편입되었다. 그 뒤 1960년에 관기리가 삼분되면서 관기·상시가 관기 1리가 되었다.

대덕면 소재지인 관기 2리와 접속된 마을로 화전천과 덕산천이 합류하여 대덕천을 이루는 지점이라 평야가 넓다. 3번 국도와 30번 국도가 만나 교통이 편리하며 김천에서는 32km 거리이다. 동은 관기 2리와 연속되고, 서는 연화 1리, 남은 화전 2리, 북은 관기 3리와 접경하고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① 관기·관터
    • 관터는 옛날 관기라 하였는데, 조선 선조때 관사와 여관이 있었고 관청이 있는 곳이었기 때문에 일제시대 관기로 변경되었다.
  • ② 웃장터·상시(上市)
    • 맨 처음 시장이 섰던 곳이며 장의 위쪽이 된다고 웃장터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46가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연안이씨·김녕김씨가 많이 살고 있다.
  • ③ 아래장터·하시(下市)
    • 장이 서는 곳으로 관기리의 일부로서 그 위치가 아랫쪽에 있다 하여 아랫장터라 부르게 되었다 하며, 86가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김해김씨가 많이 살고 있다.
  • ④ 장곡(長谷)
    • 관기에서 남쪽으로 700m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옛날 이곳에는 역이 있어 고을원이 여행할 때에 역마를 갈아 탔고 말을 먹였다.
    • 또 마을 뒤 골짜기가 길어 장곡이라 불렀다 한다.
  • ⑤ 호미(好美)
    • 마을 뒷산에 마치 미인이 머리를 산발한 것 같은 옥녀봉이 있으며, 마을 모양이 호랑이 꼬리 부분이라 하여 호미(虎尾) 마을이라 불리어 오다가, 일제 시대에 호미(好美)로 변경 되었다. 또 우주촌이라 하여 아무때나 닭이 울면 마을을 지키는 호랑이가 도망 간다고 지금도 마을에서는 닭을 기르지 않고 있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화전리

조선시대에는 화전·외산·내산이라 칭하던 3개 마을로 지례현 남면에 속했다가 1895년에 외남면에 귀속되었다.

1914년에 기동·월매를 병합하여 화전리라 칭하고 김천군 대덕면에 편입되었고, 1960년에 기동·월매가 살림을 났다. 화전·외산·내산·신기의 4마을이 화전 1리로 되었는데, 1969년에 광신원이 개동되어 이에 포함되었다.

마을 근처에 월매산(1,023m)을 비롯한 큰 산이 많고 들이 적으며 수도산과 우두령에서 발원된 화전천이 북류하고 있다. 3호 국도변의 화전동외는 골짜기와 구릉지대에 산재하는 5개의 마을로 대덕면 소재지와는 3∼4km 거리에 있다. 동은 화전 2리, 서는 내외감, 남은 문의리, 북은 연화 1리와 접경하고 있다.

지명분포로 보면 꽃화자가 들어가는 경우가 상당수 있는데 마을의 모양이 꽃송이처럼 두드러지게 튀어 나온 곳을 이르는 일이 많이 있다. 여기도 툭 튀어나온 모양을 그린 것으로 보인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① 꽃밭·화전(花田)
    • 면 소재지가 있는 관기리에서 남서쪽으로 약 2km 떨어진 국도변에 위치하고 있다. 기와집으로 통일된 부촌으로 대학생이 가장 많은 마을이다. 벼농사를 주로 한다.
  • ② 넘터골·외산(外山)·늠텃골
    • 면 소재지가 있는 관기리에서 남서쪽으로 약 3.6km쯤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작은 마을이다.
  • ③ 안산·내산(內山)
    • 관기리에서 남서쪽으로 약 3.5km, 새터에서 약 1km쯤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10여 가구의 마을이다. 장수황씨와 정안이씨가 주로 살고 있으며, 벼농사를 주업으로 고추와 엽연초 재배를 하고 있다.
  • ④ 새터(新基)
    • 관기리에서 남쪽으로 2.5km쯤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10여 가구 중 장수황씨가 많이 살고 벼농사를 비롯하여 엽연초 재배를 하고 있다.
  • ⑤ 광신원(光信園)
    • 면 소재지인 관기리에서 약 2.6km 정도, 화전에서 약 600m 거리에 위치한다. 1800년 성산 이씨가 개척하여 오돗골이라 칭하여 오다가 1969년에 나환자가 입주하여 광신원을 조성하여 양계업을 주업으로 하고 있다.
  • ⑥ 달매·월매(月梅)
    • 면소가 있는 관기리에서 남서쪽으로 약 1km쯤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40여 가구의 각성받이로 이루어진 마을이다. 은진송씨가 마을을 개척하였는데, 월매 산하에 자리하였다 하여 달매·월매라 이름지었다고 전해 오며, 풍수설에 의하면 이 곳은 매화낙지(梅花落地)의 명당자리라고 한다.
    • 땅 이름의 일반적인 보기를 통하여 보면 달(月·達)이 들어가는 경우에는 '높다. 크다'의 뜻으로 쓰임이 많다. 달매는 달뫼로서 높은 산이란 말이요, 더 나아가서 달-닭-새로 이어지는 바, 산악숭배 혹은 태양숭배와 무관하지가 않다.
  • ⑦ 텃골·기동(基洞)
    • 면소가 있는 관기리에서 남서쪽으로 약 500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40여 가구의 마을이다. 밀양박씨와 다른 각성받이가 모여 마을을 이루고 있다. 이 마을은 고려 때 화순최씨가 개척하였는데 원래는 텃골이라 하다가 기동으로 개칭하였다 한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문의리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남면 기동·문의라 불리던 마을로 1895년에 남면이 삼분되면서 외남면에 귀속되었다. 1914년에 곡암·하임기를 통합하여 문의리라 칭하고 김천군 대덕면에 편입되었다. 동에 월매산(1,023m), 서에 국사봉(875m) 등 높은 산이 많은 고지대로 들이 적다. 대 1, 2리에서 발원된 화전천이 북류하고, 화전천이 들판을 이루어 논밭이 되고 있다. 3번 국도가 남북으로 관통하고 면소재지와는 4.5km 거리이다. 동은 화전 2리, 서는 경남 거창군, 남은 대 1리, 북은 화전 1, 2리와 접경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① 기릿마·기림마·내촌(內村)·원문의
    • 문의리의 중심인 임터의 서쪽 1500m의 거리에 있으며 20여 가구가 거주하며, 고랭지 채소 ·포도를 주로 생산하고 있다.
  • ② 꼭두바우·곡암(曲岩)
    • 임기 북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 앞에 굽은 바위가 있어서 마을 이름을 곡두바우, 곡암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대리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남면에 속했던 여서마을로 1895년에 남면이 삼분되면서 외남면에 귀속되었다. 1914년에 여서(예서), 곡촌·대동·조항·덕석이 통합되어 대리라 칭하고 김천군 대덕면에 편입되었다. 1960년에 대리가 이분되면서 예서·곡촌·덕석이 대 1리가 되었다. 대덕면의 남쪽 끝으로 경상남도와 경계선에 위치하고 부근에 수도산(1,317m)·우두령· 국사봉(875m)·월매산(1,023m) 등 고산준령이 있는 산간오지로 들은 협소하다.

3번 국도로 면소재지와는 5km 거리이며 골담 앞에서 옛길로는 우두령, 샛길로는 배터재를 통하여 거창군 웅양면과 연결된다. 동은 대 2리, 남과 서는 경남 거창군, 북은 문의리와 접경하고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① 골담·곡촌(曲村)·외촌(外村)
    • 산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골담이라 했고 거창에서 김천으로 오는 국도 밖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외촌이라 부르기도 한다.
  • ② 예서목·예서(禮西·余西)·예성동
    • 대덕면에서 거창으로 넘어 가는 고갯마루 오른쪽에 있는 마을이며, 골담 서쪽마을이라 해서 예서라고 한다. 또 옛 성터가 마을 뒷산에 있다 하여 예성동이라 쓰게 되었다고 한다.
  • ③ 안마·댓골·대동(台洞)·내촌·죽동(竹洞)
    • 지형이 전대 모양이라서 대동이라고 하였다는 설도 있고, 대나무가 많아서 댓골 혹은 죽동 이라고도 하고, 국도 안쪽에 위치한다 하여 안마 혹은 내촌이라고도 한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중산리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남면 중산이라 불리던 마을로 1895년에 남면이 삼분되면서 하남면에 귀속되었다. 1914년에 다화와 병합하여 중산리라 칭하고 김천군 대덕면에 편입되었으며, 1960년에 중산리가 이분되면서 중산 1리가 되었다. 마을 뒤의 고드름산 줄기를 비롯하여 산이 많고 들이 적은 편이며 대덕천과 추량천이 마을 앞에서 합류하여 북으로 흐른다.

면 소재지와는 3km 거리이며, 마을 앞을 3호 국도가 남북으로 지난다. 동은 증산면과 고드름산으로 경계 짓고, 남은 추량 1리, 서는 중산 2리, 북은 가례리와 접경하고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① 중산리(中山里)
    • 이곳은 남평문씨·서산정씨·김해김씨가 주로 사는 60여 가구의 마을이다. 면소가 있는 관기리에서 북동쪽으로 약 3km 정도 떨어진 국도변에 위치하고 있다. 마을 뒤 골짜기 중턱에서 맑은 샘물이 솟아나는데 피부병에 효험이 있어 팔도강산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들었다고 한다.
  • ② 다부실·다화(多花)
    • 조선 세종 때 송천상이 지례향교의 공자위패를 이곳에 봉안했다. 부자가 많이 나오라는 뜻에서 다부실이라 칭하였고, 1897년에 마을 뒤 산세가 심(心)자 모양이며 마음이 꽃처럼 아름다운 것이 제일이라는 뜻으로 다화라고 개칭하였다 한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누리집 서비스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평가

  • 담당부서문화홍보실
  • 연락처054-420-6731
TOP